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떼놓을 수 없는 날씨! 라디오나 TV에서 알려주는 날씨 예보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런 날씨예보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날씨 예보의 종류와 분류 기준에 대해 하나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날씨 예보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보는 예상 시간대에 그 지역의 날씨 상태를 미리 알려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초단기 예보와 동네예보, 중기예보, 장기예보의 네 종류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단기 예보는 실황에서부터 3시간 이내의 기상 상황을 1시간 간격으로 예보합니다.
기온과 강수량, 강수형태, 상태 습도, 바람(풍향, 풍속), 하늘 상태, 낙뢰 등 8개의 기상 실황과 강수형태, 강수량, 하늘 상태, 낙뢰 등 4개의 기상요소를 제공합니다.
해당 정보를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아이콘을 통해 표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동네예보인데요, 동네예보는 대상 기간과 구역을 시∙공간적으로 세분화하여 발표하는 예보입니다.
정시 기온과 낮 최고기온, 아침 최저기온, 강수형태, 강수확률, 강수량, 적설, 하늘 상태, 습도, 바람(풍향, 풍속), 파고에 대한 예보를 3시간 간격으로 모레까지 제공하는 예보를 말합니다.
중기예보는 향후 3일에서 10일까지의 기상 전망과 예보구역별 날씨, 지점별 기온, 파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보인데요.
날씨는 짧은 순간에도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만큼, 중기예보를 확정된 예보로 받아들이기보다, 미리 참고하는 정도로 생각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장기예보는 11일 이상에 대한 날씨 예보를 일컫습니다.
주간 날씨나 월간 전망(1개월, 3개월 전망), 계절 기후 전망, 연 기후 전망 등의 긴 기간의 날씨 예보죠.
이처럼, 같은 날씨 예보인데도 기간에 따라 네 종류로 분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날씨예보를 하는 데에 있어 쉬운 조건을 갖고 있지 않아 어떤 종류의 예보를 하더라도 어려움이 따릅니다.
어려운 이유가 무엇이냐고요?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간단하게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형성되어 있고 산악 지형이 많아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그만큼 날씨 변화가 매우 복잡하고 예측을 하기가 쉽지 않죠.
이런 이유들로 날씨 예보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데요, 초단기 예보의 정확도는 많이 향상된 편이지만, 중∙장기 예보는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들로 인해 변동 가능성이 큰 만큼 맹신보다는 참고 정도로 활용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Credit Info
EDITOR 웨더뉴스 예보팀 &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