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을 지나 막바지 여름으로 향해가는 요즘, 기승을 부리는 늦더위와 함께 전국 곳곳에 소나기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소나기의 특성상 좁은 지역에서 비구름이 발달해 가까운 지역 간에도 강수량 차이가 크겠고, 일시적으로 강한 비가 쏟아지는 곳도 있겠으니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짧게 찾아와 더위를 식혀주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국지적 피해도 유발할 수 있는 여름철 소나기.
소나기는 왜 여름철에 자주 내리는 걸까요?
by 웨더뉴스
한여름을 지나 막바지 여름으로 향해가는 요즘, 기승을 부리는 늦더위와 함께 전국 곳곳에 소나기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소나기의 특성상 좁은 지역에서 비구름이 발달해 가까운 지역 간에도 강수량 차이가 크겠고, 일시적으로 강한 비가 쏟아지는 곳도 있겠으니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짧게 찾아와 더위를 식혀주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국지적 피해도 유발할 수 있는 여름철 소나기.
소나기는 왜 여름철에 자주 내리는 걸까요?
뜨거운 땅이 만든 구름, 지면 가열 소나기
한여름에는 강한 일사(日射)로 인해 지표면이 빠르게 달아오릅니다.
이렇게 지면이 가열되면 표면 근처의 공기가 가벼워져 상승하는데요,
이 공기가 수증기를 충분히 머금고 있다면 상층에서 응결이 일어나 구름이 만들어지고,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소나기로 발전하게 됩니다.
특히 도시 지역은 아스팔트, 건물 등으로 인해 ‘열섬 현상’이 나타나 더욱 가열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도시를 중심으로 짧고 강한 소나기가 집중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소나기가 한차례 지나간 뒤에도 ‘더 시원해지지 않는다’라고 느끼는 이유도 있습니다.
비가 내릴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잠열(Latent heat)’이 방출되고, 이로 인해 오히려 체감 습도와 열감은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충돌, 대류 불안정 소나기
지면 가열 외에도 여름철 한반도에는 지표면 근처에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자리하지만, 북쪽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상층으로 내려올 대류 불안정 상태가 자주 나타납니다.
이 불안정은 공기의 수직운동을 활성화해 상승기류가 더 강력해지고, 대기 중 수증기가 빠르게 응결하면서 소나기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실제로 7월 초 서울에서 발생한 소나기구름은 대기 상층 -15℃의 찬 공기와 지표면 33℃의 고온이 맞물리며 시간당 40mm의 강한 비를 갑작스레 내리게 했습니다.
대류 불안정으로 만들어진 소나기는 보통 좁고 긴 띠 형태의 강수 구역을 만들며 국지적으로 매우 강한 비를 뿌리기도 합니다.
특히, 이런 유형의 소나기는 대기 온도 차와 불안 정도가 클수록 소나기의 세기도 강해지고, 돌풍이나 천둥·번개를 동반할 확률도 높아집니다.
하층 제트가 몰고 온 국지적 강수, 지형성 소나기
여름철 소나기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하층 제트와 지형의 상호작용입니다.
남쪽에서 유입되는 하층 제트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빠르게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 바람이 산지와 같은 지형을 만나면서 공기가 수직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소나기구름이 발달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동서로 산지가 길게 뻗어 있는 지형에서는 중부 내륙과 남부 산간을 중심으로 지형성 소나기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 유형의 소나기는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 3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질 수 있기 때문에 산사태나 하천 범람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즉, 여름철 소나기는 단순히 더위를 식히는 ‘반가운 비’가 아니라, 짧은 시간에 강한 비와 함께 돌풍, 벼락같은 위험 요소를 동반하는 재해성 강수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출 전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구름의 흐름이나 하늘빛 변화를 유심히 살피는 작은 습관이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소나기의 속성을 잘 이해하고 대비한다면,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 속에서도 한층 더 안전하고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아요
날씨 예보에서 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숫자, 바로 퍼센트(%)로 표시되는 ‘강수 확률’입니다.
기온, 풍속과 함께 표기되지만, 이 수치의 정확한 의미가 궁금했던 적 있으시죠?
오늘은 비 소식이 잦은 여름철, 강수 확률의 진짜 뜻과 활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기사를 통해 강수 확률의 오해와 진실을 파헤쳐 보세요!
Credit Info
EDITOR 웨더뉴스 예보팀 & 뉴스팀
더 알아보기
웨더뉴스
태풍의 역설, ‘파괴’와 ‘회복’ 사이
웨더뉴스
무더위 이기는 활력 한 모금,오미자청 레시피
웨더뉴스
마른 하늘에 빗방울? 여름철 매미의 비밀
웨더뉴스
모기 입도 비뚤어진다는 처서, 달라져야 할 생활 습관은?
주간동아
50세 전후부터 ‘저속 노화’가 어려운 이유
토픽트리
'음주 측정 0%인데 왜?'... 치사율은 음주 운전보다 약 2배 높다는 ‘이것’의 정체
여성동아
여름 헤어와 액세서리의 완벽한 만남
젠테스토어
여름에도 하이킹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웨더뉴스
[주간 날씨] 주 초반 수도권·강원 비, 전국 곳곳 소나기 가능성… 처서 앞두고도 찜통더위
웨더뉴스
[광복절 연휴 날씨] 오늘 곳곳 한때 소나기... 연휴 내내 무더위 기승
웨더뉴스
시간당 30~50mm 퍼붓는다… 내일(14일)까지 ‘물 폭탄’ 주의보
웨더뉴스
'장마 끝'은 착각? 늦여름 '2차 장마'의 습격
TodayStory의 콘텐츠를 SNS에 공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