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폭염은 만성질환자에게 특히 위험하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는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고 탈수에 취약해 혈압·혈당 변동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 장시간 외부에 있을 땐 온열질환에도 쉽게 노출된다. 심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내분비내과 이해리 전문의는 “기온이 높을수록 혈압과 혈당이 오르고, 탈수로 혈액이 농축되면서 혈관에 무리가 간다”며 “만성질환자는 혈압이 불안정해지고 심장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체온 상승하면 혈압·혈당 급변
체온이 상승하면 우리 몸은 혈관의 이완과 수축을 반복한다. 체온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고혈압 환자는 혈관 탄력성이 저하돼 급격한 혈압 변동이 생긴다. 이 전문의는 “체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심장 혈액 박출량은 분당 3L 증가해 심장에 부담을 준다”며 “땀으로 혈액이 농축되면 혈전이 생기기 쉬워 뇌경색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당뇨 환자도 마찬가지다. 무더위에 노출되면 탈수로 혈액 농도가 진해지고, 혈당 수치가 급격히 오르내릴 수 있다. 여름철 식욕 저하로 끼니를 거를 경우 저혈당 쇼크도 발생할 수 있다. 자율신경계 합병증이 있는 환자 역시 체온 조절이 어려워 열사병에 노출되기 쉽다.
다른 만성질환자도 예외는 아니다. 심뇌혈관질환자는 땀 배출로 체액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와 호흡수가 증가한다. 심장 부담이 늘어 탈수 진행이 빨라진다. 신장질환자는 급격한 수분 섭취로 부종이나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전문의는 “갑작스러운 흉통이나 시야 흐림, 균형 상실, 두통 등이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 조치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낮 외출 피하고 수분 충분히 섭취
여름철 수분 보충은 기본이다.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하루 2L 정도 물을 조금씩 자주 나눠 마시는 게 좋다. 카페인과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이온음료는 당분 함량에 유의해 적정량만 섭취한다. 생수가 부담스럽다면 오이나 레몬, 민트를 넣어 마시는 것도 도움된다.
한낮엔 외출을 피하는 게 이롭다. 햇볕이 강한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진 가급적 외출을 자제한다. 밖에선 모자, 양산, 밝은색 옷 등으로 햇볕을 차단한다. 외출 후에는 찬물보다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급격한 혈압 변동을 방지한다. 에어컨 온도는 26도 내외로 유지해 냉방병을 예방한다. 운동은 아침이나 저녁에 산책과 스트레칭으로 가볍게 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