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7700명 감염…살모넬라 식중독, 여름에 절반 넘게 발생
by 헬스동아
게티이미지뱅크최근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가 7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이나 김밥처럼 상하기 쉬운 음식을 제대로 보관하지 않거나 덜 익혀 먹을 경우, 감염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더위가 절정에 이른 지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살모넬라 식중독은 총 204건 발생했으며, 환자 수는 7788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7~9월 여름철 발생 건수만 전체의 절반 이상인 107건(52%)에 이르렀고, 해당 기간 환자도 4542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으로 전체의 63%인 129건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집단급식소(17%), 즉석판매·가공업소(5%) 순이었다. 주요 원인 식품은 달걀말이·지단 등 계란 조리식품과 김밥·도시락 같은 복합조리식품이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와 포유류의 장내, 또는 오염된 물이나 흙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감염된 식품을 섭취하면 발열, 복통, 구토, 설사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다.
■ “식중독, 예방이 최선”…식재료 취급·손 씻기부터 철저히
식약처는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세균 증식 속도가 빨라져,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계란은 구입부터 보관, 조리까지 전 단계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계란을 살 때는 껍데기에 금이 가지 않은 신선한 것을 고르고, 산란일자와 소비기한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구입한 즉시 냉장 보관하고, 다른 식재료와 직접 닿지 않도록 분리하는 것이 좋다.
음식점이나 급식소처럼 계란을 대량 구매하는 곳은 상온 방치를 피하고, 보관 온도를 지켜 2~4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 중에는 계란·육류·가금류를 만진 손으로 다른 식재료나 조리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은 뒤 다음 조리에 나서야 한다.
살모넬라는 열에 약한 균이기 때문에, 가열 조리만으로도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
고기나 계란은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해 먹어야 하며, 계란은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익도록 완전히 조리하는 것이 좋다.
■ 조리기구·조리자 위생도 핵심…“장갑 자주 바꾸고, 증상 땐 조리 배제”
게티이미지뱅크 조리기구는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하고, 사용한 칼과 도마는 열탕 소독이나 살균제를 활용해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달걀물을 섞는 용기 또한 주기적으로 세척·소독하고, 김밥처럼 다양한 재료를 다루는 조리에서는 위생장갑을 수시로 교체해야 한다.
또한 음식점이나 단체급식소에서는 구토·설사 등 식중독 증상이 있는 조리종사자는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증상이 나아진 뒤에도 2~3일은 조리 업무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바로 먹지 않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 후 재가열해서 먹는 것이 안전하다.
야외에서 음식을 섭취할 경우에는 보냉백·아이스박스를 이용해 10℃ 이하로 보관·운반하는 것도 중요하다.
Credit Info
김수연 기자
제공 헬스동아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