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가 활성화되어있지 않습니다. 설정을 통해 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하거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세요.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수면 호르몬’으로 불리는 멜라토닌, 어떤 사람이 복용해야 효과 있나

by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일반 불면증보다 교대근무자, 생체주기 이상 있는 사람이 써야

최근 불면증이나 시차 적응을 위해 멜라토닌을 복용하는 사람이 늘었다. 멜라토닌은 인간의 뇌 속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과 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선 이를 건강보조식품으로 분류한다. 약국이나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반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멜라토닌을 의약품 성분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선 멜라토닌이 포함된 제품을 일반 소비자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하는 것이 금지돼 있으며, 일반의약품으로도 허가되지 않았다. 일부 병원에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형태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멜라토닌이 ‘수면 호르몬’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수면제처럼 인식되는 경우 많지만, 이는 오해다. 멜라토닌은 뇌를 졸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불면증보다 시차 적응, 교대근무, 생체주기 이상에 좀 더 효과가 있다.

멜라토닌은 호르몬이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 시 체내 멜라토닌 생성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청소년이나 성장기 아동에겐 성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유럽 일부 국가에선 18세 미만 청소년의 멜라토닌 복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특히 멜라토닌 효과는 개인차가 크고, 기존 수면제와 달리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므로 복용자의 기대와 다를 수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멜라토닌은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누구에게나 맞는 약물은 아니다”며 “특히 불면증의 원인이 생체리듬 이상이 아닐 경우 멜라토닌은 큰 효과가 없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복용 전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고, 불면 증세가 지속한다면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불면증은 ▶수면 위생을 개선하는 인지행동치료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광선(빛) 치료 ▶단기 약물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대부분 근본적인 접근을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Credit Info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제공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알아보기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젊다고 안심하면 후회…고혈압약 임의로 끊었다가 뇌졸중 발생

    thumbnail
    2025-07-02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표면에 흠집 없고 위아래 크기 균일…애호박 고르는 팁

    thumbnail
    2025-07-01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장마철 냉방기기 과사용 주의, 실내서 얇은 가디건 챙겨야

    thumbnail
    2025-06-30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아침이면 손가락 뻣뻣…내버려두면 관절 망가진다

    thumbnail
    2025-06-28 00:00:00

BEST STORIES

  • cp logo

    웨더뉴스

    2025년 첫 열대야 발생… 밤잠 설치는 여름 시작됐다

    thumbnail
    2025-07-02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아침이면 손가락 뻣뻣…내버려두면 관절 망가진다

    thumbnail
    2025-06-28 00:00:00
  • cp logo

    덴 매거진

    세계를 제패한 태극 전사들, 해외파 우승 퍼레이드

    thumbnail
    2025-06-30 00:00:00
  • cp logo

    트래비

    아직은 숨겨진 여행지, 태국 카오락의 숨은 스폿 4곳

    thumbnail
    2025-07-04 00:00:00

건강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휴가 앞두고 유산소 운동 위주 다이어트, 근력 잃고 관절만 고생

    thumbnail
    2025-06-27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갑자기 어지럽고 말 어눌해진다? ‘미니 뇌졸중’ 징후

    thumbnail
    2025-06-26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장마철 관절통 심해지면 실내 온도·습도 점검해보세요

    thumbnail
    2025-06-25 00:00:00
  • cp logo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제철 맞은 오이, 체내 열 식히고 부종 완화까지

    thumbnail
    2025-06-24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