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이제 더 이상 듣는 예술에 머물지 않는다.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완성된 아티스트의 머천다이즈는 단순한 팬심을 넘어, 그들을 사랑하고 지지하는 가장 패셔너블한 방식이다. 투어 티셔츠 한 장, 한정판 후디 한 벌은 그 자체로 하나의 스타일이자 음악적 유대의 징표다. 음악과 패션이 교차하는 이 지점에서, 우리는 이제 듣는 팬을 넘어 입는 팬으로 존재한다.
플래그십 스토어가 된 콘서트장
현재 가장 핫한 아티스트들의 머천 아이템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행사가 있다? 요즘 인스타 피드를 가득 채운 코첼라 페스티벌(Coachella Valley Music and Arts Festival)의 이야기다. 야외에 따로 마련된 아티스트 머천다이즈 부스에선 티켓팅만큼이나 뜨거운 경쟁이 치러졌다고. 헤드라이너인 레이디 가가(Lady GaGa)와 그린 데이(Green Day), 포스트 말론(Post Malone) 등은 코첼라에서만 판매하는 독점 시리즈를 선보였다.
대한민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무려 8년 만에 내한한 콜드플레이(Coldpay)의 머천다이즈 부스 역시 성황을 이뤘다는 소식. 몇몇 아이템은 첫날부터 매진 사태를 이뤄, 구경조차 못해본 팬들의 하소연이 웹 상에 가득했다. 에디터 역시 참전했지만 보란 듯이 실패. 이쯤 되면 콘서트장으로 오픈런을 해야할 기세다.
친환경 잉크와 순면 100%만을 사용해 의류를 제작하는 콜드플레이 ⓒusstore.coldplay.com
20달러가 10,000달러가 되는 기적
이러한 아이템들이 그저 팬심의 반영이라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영국의 유명 밴드 레드 제플린(Led Zeppelin)이 2년이 공백기를 깨고 복귀한 1979년 영국 넵워스 페스티벌(Knebworth Festival). 그곳에 방문했던 팬이 구매했던 단돈 20달러의 티셔츠는 수십 년이 흐른 후 1만 달러(한화로 1천 4백 만원)에 낙찰되었다.(The Gardian, 2018년 3월) 신원 미상의 호주인이 입찰하였다고 하는데, 당시엔 티셔츠로 백스테이지 입장권을 대체하는 시스템이었기에 더욱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후문.
ⓒetsy.com
이처럼 아티스트 머천다이즈는 취향에 국한된 소비의 산물이 아닌, 대중문화의 흐름을 적극 반영하는 역사적 증거다. 그 시초는 1950년대의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 그는 스타 이미지를 활용한 최초의 뮤지션으로 자신의 얼굴이 새겨진 버튼과 포스터, 셔츠 등을 발매하며 이른바 굿즈 개념을 창시했다. 뒤이어 60년대의 비틀즈(The Beatles)는 문구류부터 인형, 심지어 식기류까지 손을 뻗으며 아이템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하지만 이 모든 건 어마어마한 인기가 뒷받침 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 굿즈 발매는 당시 그들의 팬덤이 얼마나 강력했는지 보여주는 척도나 마찬가지였던 셈이다.
1956년, 엘비스 프레슬리의 모자 판매 포스터 ⓒgottahaverockandroll.com
1960년에 발매된 비틀즈 그릇 ⓒrockaway.com.au
Credit Info 제공 젠테스토어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