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관절로, 다리의 기둥 역할을 하며 걷기·앉기·일어나기 등 거의 모든 움직임에 관여한다. 이 관절은 체중의 2~3배에 달하는 하중을 견디기 때문에 노화와 함께 연골이 마모되며 염증과 통증이 생기기 쉽다. 결국 관절의 운동성이 떨어지고 통증이 반복되는 퇴행성 고관절염으로 이어진다.
고관절염은 무릎관절염보다 인지도는 낮지만, 실제론 중장년층에서 무릎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질환이다.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사타구니 깊은 부위의 통증과 다리 회전 시 불편감이 주요 증상이다. 병이 진행되면 절뚝거림, 보행 장애 등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이 통증이 허리 질환과 유사해 환자 스스로 혼동하기 쉽다는 점이다.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도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어 감별이 쉽지 않다. 연세스타병원 정형외과 허동범 병원장은 “고관절에서 유발되는 통증은 특정 동작에서 반복되는 국소 통증이 특징인 반면, 허리 질환은 자세에 따라 통증이 변하고 저림이나 감각 저하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며 “두 질환은 치료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습관 개선하면 치료 효과 상승
퇴행성 고관절염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면 통증부터 보행 장애까지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비수술 치료로는 소염진통제를 이용한 약물치료, 히알루론산 주사나 체외충격파를 통한 연골 보호와 통증 조절이 있다. 여기에 걷기 운동, 스트레칭을 통한 근력 강화, 체중 감량 등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고관절염은 완치보다 진행 억제와 기능 유지가 치료의 핵심이다. 평소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등 관절에 무리가 가는 자세는 피하고,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체중이 관절에 미치는 부담이 큰 만큼 적정 체중을 유지한다.
허 병원장은 “평소 허리 질환이 있는 경우 고관절 통증을 연관 통증으로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며 “사타구니 통증이나 다리 회전 시 불편함, 보행 시 절뚝거림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통증 부위와 양상을 꼼꼼히 살펴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Credit Info 김선영 기자 제공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