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부럼 깨고 오곡밥 먹는 이유
by 웨더뉴스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날을 특별한 명절로 여기고,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다양한 풍습을 이어왔는데요,
부럼을 깨물며 건강을 다짐하고, 오곡밥과 나물을 먹으며 영양을 보충하는 조상들의 풍습 속에는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은 정월대보름의 의미와 풍습에 대해 함께 살펴볼까요?
정월대보름,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날
정월대보름은 설날에 이어 새해를 맞이하는 중요한 날인데요, 보름달이 뜨는 날이기에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며 농경사회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는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이날 사람들은 ‘귀밝이술’을 마시며 좋은 소식을 많이 듣기를 기원했습니다.
또, ‘부럼 깨기’라는 풍습이 있는데, 호두·땅콩·밤 등 딱딱한 견과류를 깨물면서 한 해 동안 이가 튼튼하고 건강하기를 바랐습니다. 이처럼 정월대보름의 풍습에는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오곡밥과 나물,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음식

정월대보름 하면 빠질 수 없는 음식이 바로 오곡밥입니다.
찹쌀, 붉은팥, 수수, 콩, 조 등 다섯 가지 곡물을 섞어 지은 오곡밥은 다양한 곡물을 함께 먹으며 영양을 고루 섭취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묵은 나물을 데쳐서 먹는 ‘나물 먹기’ 풍습도 있습니다.
겨울 동안 부족했던 영양을 보충하고 건강을 챙기기 위한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풍습인데요, 예부터 “정월대보름에 나물을 먹으면 여름철 더위를 타지 않는다”라는 말이 전해질 만큼, 나물은 중요한 대보름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정월대보름의 다양한 풍습과 놀이
정월대보름에는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놀이와 풍습도 전해집니다.
대표적인 것이 ‘달맞이’로, 마을 사람들은 높은 언덕이나 산에 올라 둥근 보름달을 보며 한 해의 소원을 빌었는데요, 밝고 둥근 달을 보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쥐불놀이’도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풍습입니다.
논밭의 마른 풀을 태우며 해충을 없애고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오늘날에는 환경 문제로 인해 쥐불놀이를 쉽게 볼 수 없지만, 농경사회에서는 중요한 의식 중 하나였습니다.
비록 예전처럼 전통 풍습을 직접 체험하기는 어려워졌지만, 오곡밥과 나물을 먹으며 조상들의 지혜를 되새기고 건강을 기원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Credit Info
EDITOR 웨더뉴스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