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하반기가 되면 다음해를 트렌드를 전망하는 도서가 쏟아져 나온다. 다가오는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전망한 도서와 책에서 예측한 트렌드를 정리했다.
필독서를 넘어 지침서로
[트렌드 코리아 2025]
(김난도 외 9인, 미래의창)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가 매년 발표하는 트렌드 필독서. 단순히 트렌드를 예측하는 데서 나아가 이제는 트렌드를 이끄는 지침서로 자리잡았다.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들을 짚어내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올해의 트렌드를 간략히 소개한 후, 다음 해를 상징하는 띠 동물을 키워드로 삼아 다가올 10가지 트렌드를 전망한다.
푸른 뱀의 해, 을사년의 키워드는 ‘SNAKE SENSE’이다. 모든 것의 경계가 사라진 시대에서 ‘K’로 대표되는 한국 문화에 대한 개념이 옅어지고, 비즈니스에서는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상생을 도모한다. 경계가 흐릿한 시대에 집단보다는 개인의 역량이 중시될 수밖에 없으며, 사람들은 자기계발을 위해 롤모델을 통해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도달 가능한 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한다. 불안하고 뾰족한 환경에서 사람들은 별 일 없이 무사히 보내는 보통의 하루에 만족하며, 작고 귀엽고 무해한 것을 찾는다.
일상의 변화를 세밀히 포착하는
[라이프 트렌드 2025]
(김용섭, 부키)
이 책의 저자 김용섭은 트렌드 분석가이자 경영전략 컨설턴트, 비즈니스 창의력 연구자다. 그는 일상에서 현재진행형으로 일어나는 변화의 순간과 사회의 흐름을 세밀히 포착한다. 나아가 현상의 근원을 살펴보고 앞으로 고민해볼 지점을 제시한다.
[라이프 트렌드 2025]에서 내년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꼽은 것은 ‘조용함’이다. 독서에 열광하는 현상 텍스트힙, AI를 도구로 자신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1인 사업가 솔로프러너, 온전히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웰니스 여행. 이 모든 현상을 아우르는 키워드는 ‘내향성 경제’이다. 복잡한 갈등 사회와 외부 소음으로부터 벗어나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내향적인 사람들. 이들이 주도하는 조용한 경제가 2025년을 이끌 것이라고 저자는 내다본다.
요즘 애들을 이해하는 방법
[Z세대 트렌드 2025]
(대학내일20대연구소, 위즈덤하우스)
15년간 가장 가까이에서 20대를 연구한 기관,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서 발표하는 트렌드 전망 도서로, Z세대를 집중 조명한다. Z세대는 트렌드를 직접 만들고 이끌어 나가는 세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즘 세대가 무엇에 열광하는지, 그들의 행동 아래에 있는 원인은 무엇인지 알고 싶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Z세대 트렌드 2025]에서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현대 사회가 우하향 시대라는 점에 주목하며 불안에 대처하는 Z세대의 모습을 분석한다. 우하향하는 현대 사회에서 Z세대는 원영적 사고를 비롯한 긍정적 사고로 불안에 대처하고, 저속노화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꾸며 감성과 낭만을 추구한다.
Credit Info MAGAZINE 덴 매거진 에디터 조윤주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