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중순에 접어들며 단풍나무 아래로 켜켜이 쌓인 낙엽에서 가을의 향기가 물씬 풍깁니다.
싸늘한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인 ‘추풍낙엽’의 시기가 바야흐로 다가온 듯한데요, 얼핏 보면 힘없이 흩날리며 떨어지는 이 낙엽에도 흥미로운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이 떨어지는 낙엽에 순서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by 웨더뉴스
11월 중순에 접어들며 단풍나무 아래로 켜켜이 쌓인 낙엽에서 가을의 향기가 물씬 풍깁니다.
싸늘한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인 ‘추풍낙엽’의 시기가 바야흐로 다가온 듯한데요, 얼핏 보면 힘없이 흩날리며 떨어지는 이 낙엽에도 흥미로운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이 떨어지는 낙엽에 순서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낙엽, 추운 겨울을 살아내기 위한 나무들의 생존 전략
나무는 여름이 지나 쌀쌀해지기 시작하면 줄어든 일조량과 추운 날씨 속에 살아남을 준비를 합니다.
이 시기에 나무는 엽록소의 생산을 중지하고 잎을 떨어뜨려 수분과 영양분을 지키려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잎 속의 녹색 색소인 ‘엽록소’가 파괴됩니다.
엽록소로 가려져 있던 나뭇잎에는 엽록소 이외에 카로티노이드나 안토시아닌 등의 보조색소가 존재하는데요, 붉은 색소인 안토시아닌과 노란 색소인 카로티노이드는 분해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 지금처럼 기온이 낮아지는 시기에는 나뭇잎이 붉고 노랗게 물들어 우리가 ‘단풍’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가을이 시작되면 건조한 날씨로 인해 나뭇잎이 색을 바꾸기 전에 말라 떨어지기도 하고, 단풍이 든 잎도 기온이 내려가고 건조해지면 하나둘씩 바닥에 떨어집니다.
이처럼 낙엽은 나무가 가을을 지나 겨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나뭇잎을 떨구면 나무는 몸체의 수분을 보존하고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요, 영양분이 많은 잎을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오히려 이를 떨어뜨려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따뜻한 봄이 되면 가장 먼저 많이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잎을 떨어뜨리지 않고 갖고 있는 나무도 있습니다.
바로 상록수인데요, 새싹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이듬해 봄까지 잎을 달고 있다가 새싹이 나올 무렵 조금씩 떨어뜨리며 사시사철 나뭇잎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떨어지는 낙엽에도 순서는 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낙엽은 가장 먼저 돋아난 잎이 가장 늦게까지 붙어있고, 가장 늦게 자란 잎이 가장 먼저 떨어집니다.
줄기의 안쪽부터 낙엽이 지기 시작해 나무 꼭대기의 가장 처음 돋아난 잎이 마지막까지 남는다는 이야기인데요, 이것은 식물의 성장 호르몬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식물의 성장과 결실, 노화를 촉진하는 성장 호르몬인 옥신과 지베릴린, 사이토키닌의 분비가 멈추는 순서대로 잎이 떨어지게 됩니다.
보통 성장호르몬은 여름의 절정인 7월부터 8월까지 활발하게 생성되다가 9월부터 주춤하는데요, 이때 잎자루 끝에 ‘떨켜층’이 형성되면서 잎으로 향하던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차단됩니다.
떨켜가 만들어지면 그야말로 잎은 생명 활동을 멈추고 나무에서 떨어질 준비가 끝난 것으로, 비를 맞거나 바람만 조금 불어도 줄기에 더 이상 붙어 있지 못하고 떨어지게 됩니다.
낙엽, 쓸어버리지 말고 그대로 두세요
눈 깜짝할 사이에 길을 뒤덮는 낙엽은 미관상 좋지 못해 치워버리기 쉽지만, 사실 낙엽은 그대로 두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익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폐기물 처리 비용인데요, 정원 쓰레기는 도시 쓰레기의 6.2%를 차지할 만큼 방대한 양이라 처리하는데 큰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유기 폐기물과 함께 분해되면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인 메탄이 발생할 수 있어 오히려 나뭇잎을 잔디밭에 남겨두는 것이 더 유익하며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낙엽이 잔디밭에 남아있으면 자연 비료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과도하게 사용된 비료가 수로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떨어진 낙엽으로 퇴비를 만들 때 낙엽에서 발생하는 열은 비닐하우스 난방에도 사용할 수 있어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낙엽은 그저 떨어지는 나뭇잎이 아니라 자연의 순리와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쓸모 없어 보이지만 그 속엔 나무의 생존 전략부터 환경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까지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죠.
깊어가는 가을, 거리를 수놓는 낙엽을 조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
갤러리탐과 함께하는
그림이 있는 목요일 🖼️
가을이 깊어가는 요즘, 여러분은 특정 공간이나 사람을 어떻게 기억하시나요?
바람에 실린 향기, 감촉, 혹은 지나간 일상의 잔상들로 떠올리곤 하죠.
오늘 소개할 작가는 이러한 기억을 색과 선으로 기록합니다.
'박경' 작가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선으로 그려내고, 그들이 남긴 흔적을 색감으로 해석해 공간의 추상적 풍경을 재구성했습니다.
가을의 감성을 담은 아름다운 선의 기록, 함께 감상해 보실까요?
Credit Info
EDITOR 웨더뉴스 예보팀 & 뉴스팀
자료 제공 갤러리탐
더 알아보기
웨더뉴스
여름철 불쑥 찾아오는 곰팡이 독소 예방법
웨더뉴스
[주말 날씨] 남부 비 소식 속 폭염 주춤… 전남 및 남해안 많은 비 주의!
웨더뉴스
휴가 떠나기 전, '개인정보' 단단히 잠그세요
웨더뉴스
폭우 뒤, 도로가 무너진다… 싱크홀의 경고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폭염에 힘 빠질땐 물 먼저, 배앓이엔 보리차로
마인드스위치앤코웨이브
[웨더뉴스 X 팜박스 8월 제철 먹거리 이야기 ①] – 보랏빛 달콤함 ‘포도’
브라보 마이 라이프
[카드뉴스] 지금 꼭 봐야할 '8월 전국 축제 캘린더'
메종 마리끌레르
BBQ 입문 가이드
웨더뉴스
‘시간당 70mm’ 예고된 폭우… 침수·사고 피하려면?
웨더뉴스
[주간 날씨] 모레(6일)까지 전국 비…호우 피해 주의, 비 그친 뒤 무더위 다시 시작
웨더뉴스
우산 챙길까 말까 고민될 땐? 기상 전문가처럼 레이더 영상 보는 팁
웨더뉴스
러시아 강진 공포… 지진, 전조현상으로 알 수 있을까
TodayStory의 콘텐츠를 SNS에 공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