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롯데가 5월 6할 승률? 21세기 최초
● 9연승 이상 기록, 가을 야구 보증수표
● 이 ‘기세’로 ‘내려갈 팀’ 오명 벗나

by 신동아
"주간지라면 롯데 이야기를 쓰는 게 맞는데 월간지라…."
1931년 창간한 시사 월간지 ‘신동아’에서 ‘베이스볼 비키니’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동료가 이번 달 원고 주제를 묻기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롯데 이야기를 할 때는 항상 ‘DTD’(Down Team is Down·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세 글자를 염두에 둬야합니다.
게다가 지난달 원고에 등장한 ‘4월 마지막 날 쓰고 있는 이 글’이라는 표현 때문에 한 온라인 독자로부터 “그런데 이제야 올리는 이유가 뭐냐? 네 부모님은 니가 이렇게 게으른 것 알고 있냐?”는 e메일을 받은 뒤라 고민이 더욱 컸습니다. 물론 저희 부모님도 원래 제가 게으른 걸 잘 알고 계셨지만 따로 산 지도 벌써 10년이라 제가 게으른 걸 잊으셨을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다만 부모님은 제가 월간지 원고를 쓰면서 약 3주 뒤에 벌어질 일까지 100% 예상하지 못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계십니다.
그래서 결국 롯데 이야기를 쓰기로 했습니다. 역시 부모님 때문입니다. 최동원 선수(1958~2011) 어머니 김정자(89) 여사는 아들 생일(5월 24일)을 맞아 묘비 옆에 이런 편지를 남겼습니다. “동원아! 잘 지냈지? 엄마다. 세월은 너무 빨리 흘러가는구나. 벌써 66해나 됐네. 엄마는 너 때문에 행복했고, 잘 지내고 있단다. 금년에는 우리 롯데 선수들이 너무 잘해서 엄마는 기분이 참 좋아! 어디서든 롯데의 경기를 볼 때마다 ‘너’를 생각하게 되거든. 행복하게 잘 있어. 엄마가.”
네, 맞습니다. 금년에는 롯데가 잘해도 너무 잘합니다. 롯데는 올해 5월을 27승 17패(승률 0.614)로 마감했습니다. 롯데가 5월 종료 시점에 승률 6할 이상을 기록한 건 ‘검은 갈매기’ 호세(58)가 불방망이를 휘두르던 1999년 이후 24년 만입니다. 그러니까 21세기 이후로는 올해가 ‘부산의 봄’이 가장 긴 해인 겁니다. 1999년 5월을 30승 3무 15패(승률 0.667)로 마감한 롯데는 결국 그해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현재까지도 롯데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건 1999년이 마지막입니다.
또 롯데는 올해 5월 3일 광주 방문 경기에서 KIA에 2-10으로 패할 때까지 9연승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연도와 팀을 구분해 따져보면 지난해까지 프로야구에서 9연승 이상을 기록한 건 총 50개 팀입니다. 이 가운데 2013년 KIA와 2019년 KT 두 팀을 빼놓고는 모두 ‘가을 야구’ 무대를 밟았습니다. 또 이 중 20개 팀은 한국시리즈 정상까지 차지했습니다. 그러니까 이 글이 세상에 나갈 때 롯데가 몇 연패에 빠져 있다고 하더라도 2023년 시즌 개막 첫 두 달 동안 놀랄 만한 ‘기세를 떨쳤다’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 롯데가 달라졌어요
부산 최고의 중국집은? 스스로를 ‘꼴빠’(꼴찌 롯데 팬)라고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잔루만루’라는 답이 바로 떠오르실 겁니다. 물론 부산에 실제로 이런 중국집이 있는 건 아닙니다. 롯데가 득점 기회를 잡고도 잔루만 차곡차곡 쌓여가는 걸 아쉬워한 팬들이 만든 ‘자학 개그’입니다. (참고로 호세의 전성 시절에는 롯데 안방 사직구장 옆에 실제로 ‘호세한의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롯데가 5월까지 기록한 잔루는 323개가 전부입니다. 최소 잔루 1위 삼성(322개)과 딱 1개 차이입니다. 물론 잔루가 적다는 게 곧 집중력이 뛰어다나는 뜻은 아닙니다. 아예 출루율이 떨어지거나 병살타가 많은 팀도 잔루가 적습니다. 출루율 9위(0.315), 병살타 최다 1위(38개)를 기록 중인 삼성이 이 경우에 해당합니다. 반면 롯데는 출루율 4위(0.334), 병살타 공동 4위(32개)를 기록하고도 잔루가 적습니다.
롯데는 대신 득점권 타율 2위(0.292)를 기록하는 집중력을 발휘하면서 주자를 열심히 불러들였습니다. 이 부문 1위인 LG(0.297)와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는 수준입니다. 네, 지금 우리는 다른 팀이 아니라 롯데 타자들이 찬스에 강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잔루만큼 롯데를 잘 표현하는 기록을 꼽으라면 많은 팬이 ‘실책’이라는 두 글자를 떠올리실 겁니다. 롯데는 올해 5월까지 야수 실책(20개)도 역시 삼성(18개)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팀입니다. 네, 지금 우리는 다른 팀이 아니라 롯데 야수들이 수비를 잘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성민규 단장 프로세스 = 석세스?
롯데가 실책을 줄인 가장 큰 이유는 ‘뜬공 유도’가 늘어난 데 있습니다. 지난해 롯데는 뜬공 아웃 대비 땅볼 아웃 유도 비율(1.17)이 가장 높은 팀이었습니다. 올해는 이 숫자가 0.78로 줄었습니다. 지난해에는 땅볼 아웃(1338개)을 뜬공 아웃(1140개)보다 17.4% 더 많이 유도했는데 올해는 뜬공 아웃(436개)을 유도한 게 땅볼 아웃(342개)보다 28.2% 더 많은 겁니다.
야구에서 뜬공은 그냥 한 번만 잡으면 아웃입니다. 반면 땅볼은 포구 → 송구 → 포구에 모두 성공해야 아웃 카운트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실책을 저지를 확률도 그만큼 올라갑니다. 야수가 땅볼을 처리 할 때 얼마나 다양한 ‘경우의 수’가 나올 수 있는지 롯데 팬보다 잘 아는 그룹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올해 시즌 개막을 앞두고 사직구장은 리모델링을 단행했다. 외야 담장 높이는 4.8m에서 6m로 높아졌다. [롯데 자이언츠]
게다가 롯데는 지난 시즌 개막을 앞두고 △홈플레이트를 포수 뒤쪽으로 2.884m 옮겨 외야 담장까지 거리를 늘이고 △외야 담장 높이를 4.8에서 6m로 높이는 사직구장 리모델링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구장이라면 홈런이 됐을 타구가 워닝 트랙에서 잡히거나 담장에 맞고 다시 그라운드로 들어오는 일이 늘어나게 됐습니다. 이런 구장을 안방으로 쓰는 팀 투수진 역시 뜬공을 많이 유도하는 편이 좋습니다. 땅볼이 담장까지 굴러갔다면, 그 타자 이름이 이대호(41·은퇴)가 아닌 이상, 장타라고 봐도 무방하니까요.
롯데는 5월 22일 사직구장 내에 있는 구단 사무실에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 우승 트로피를 전시하는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면서 두 트로피 사이에 빈 전시함을 배치는데요. 이 전시함 아래에는 ‘넥스트 챔피언스(Next Champions)’라는 문구를 써두었습니다.
호사가 사이에서는 28년째 숙성 중인 ‘LG 트윈스 우승주’처럼 롯데도 이 빈칸을 꽤 오래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또 압니까. 올해가 성민규(41) 롯데 단장의 ‘프로세스’가 ‘석세스’로 바뀌는 해가 될지. 그런 믿음마저 없으면 프로야구 출범 이후 2700패(역대 1위)나 당한 롯데를 응원하는 건 정신 건강에 너무 해로운 일이 될 테니 말입니다. (롯데가 10연승 도전에 실패한 그 경기가 통산 2700번째 패배 경기였습니다.)
“롯데도 하는데 여러분이 왜 못 합니까”
정신 건강 이야기를 꺼낸 건 박종석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때문입니다. 박 전문의는 2019년 7월 3일 ‘정신의학신문’에 ‘롯데 자이언츠 유발성 우울증’이라는 칼럼을 썼습니다. 그는 이 글을 통해 “27년간 지켜본 롯데의 팀 컬러를 말씀드리자면 (중략) 작전 성공률, 특점권 타율이 최악이고 주자 있는 상황에서는 여지없이 팀 배팅이 아닌 병살타와 잔루가 쌓입니다. 어이없는 실책, 무사 만루에서 1점도 내지 못할 경우의 수가 이리도 많을 수 있구나. 특히나 최근 있었던 낫아웃 끝내기 패배는 ‘느그가 프로가’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라고 한탄했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요즘 롯데는 반대입니다. 박 전문의는 요즘 롯데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궁금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찾아봤습니다. 올해 5월 17일 페이스북에 이렇게 남겼더군요.
“(롯데의) 방만하고 나태한 플레이, 7연패를 하고도 퇴근할 생각에 웃는 선수들. 분노와 절망, 목 디스크, 후두엽의 통증을 느끼며 리모컨을 집어던졌습니다. 그 팀이 2023년 5월 17일, 1등을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아무리 노력해도 안될 것 같아요. 사는 게 아무 의미가 없어요. 평생 조연이고 엑스트라인데 살아봤자 뭐해요.’ 우울증에 걸리신 분들, 롯데도 그랬습니다. 패배가 당연했던 꼴찌 팀이 변하기까지 6년의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하루아침에 변하는 것은 없습니다. 내일 당장 내가 달라지길 원해선 안 됩니다. 한 번의 진심 어린 스윙이, 포기하지 않는 수비 하나가 6년간 켜켜이 쌓여서 오늘을 만든 것입니다. 갑자기 자격증을 따거나, 대기업에 취직하는 걸 목표로 삼지 마시고, 하루 10분 운동하기, 5분 일찍 일어나기. 아주 작은 것부터 하나씩 달성하면서 ‘나’를 한 번만 더 믿어봅시다. 농사를 짓듯이, 당장이 아니라 내년, 후년을 바라보며, 무기력과 불안을 이겨내시고 하루에 0.1%씩만, 반 발자국씩만 앞으로 나아가세요.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 롯데도 하는데 여러분이 왜 못 합니까.”
맞습니다. 이제 롯데는 팬들에게 ‘활력’을 주는 팀이 됐습니다. 적어도 시즌 개막 첫 두 달 동안에는 확실히 그랬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그걸로 롯데는 이미 올해 해야 할 일은 다 했는지도 모릅니다. (이 글이 세상에 나갈 때 롯데가 DTD를 시전하고 있을까 두려워 덧붙여 두는 문장 맞습니다.)
Credit Info
글 황규인 동아일보 기자 kini@donga.com
제공 신동아
※ 서비스 되는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제공처에 있습니다. 웨더뉴스에는 기사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불편하시더라도 기사를 제공한 곳에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알아보기
신동아
“내가 69세? 신체 나이 맞춰 49세로 해달라”
신동아
음악도 16세기 ‘악보’ 나오면서 개인의 취향 중요해졌다
신동아
“느리게 나이 들고 싶다면 ‘노잼’ 활동 즐기세요”
신동아
스마트폰이 손에 없으면 불안한 당신, 도파민 중독입니다
하이닥
맵고 단 음식 당기는 스트레스, 건강하게 해소하는 방법 5
브라보 마이 라이프
[카드뉴스] 코가 뻥! '환절기 비염' 지압법이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배움이 있어 더 즐거운 봄맞이! 남산도서관에서 해방촌 신흥시장까지
골프이슈
더 좋은 스코어 위한 연습, 골프용품의 도움
신동아
프랑스, 100년 만의 올림픽으로 ‘빛의 도시’ 영광 노린다
신동아
“유럽 축구 동경하는 만큼, 그들의 훈련량 본받아야” [+영상]
신동아
‘명장 호소인’ 염경엽의 도루학 개론
신동아
무식한 야구가 보상받을 것이라는 착각
TodayStory의 콘텐츠를 SNS에 공유해보세요.